뜰과 함께 살아온 우리 민족의 심성 되찾아야
조경·원예·임학 등 융합 '정원문화포럼' 창립
'정원산업 발전' 최우선…정원문화 꽃 피울 것


영국의 첼시플라워쇼, 독일의 International Garden Show, 프랑스의 모네정원과 빌랑드리가든…

전 세계, 특히 유럽의 정원문화는 그들의 일상이고 삶이다. 실제 거주하고 있는 주택이나 도심 골목길, 보행섬에도 정원이나 화단이 없는 공간은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로 꽃과 식물이 그들의 생활 속에 깊이 뿌리 내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정원’, ‘가드닝’이라고 하면 우리 것이 아니라 대부분 서양만의 전유물인 것처럼 인식되고 있다. ‘가드너’란 직업도 생소하다. 유럽이나 미국에서는 아주 존경받는 직업군 중 하나인데도 말이다. 많은 대학의 원예학과 학생들은 유명한 가드너 또는 가든 디자이너가 되는 게 꿈이다.

1인당 국민소득 2만4천불을 자랑하는 우린 어떤가? 선진국의 유명 가든 디자인 대학이나 식물원에서 제대로 수업 받은 전문 가드너들마저 아직 마땅히 직업인으로 설 자리가 없다. 국내 몇 십 개의 식물원이 있어서 그나마 실력을 발휘하고 거기서 미래를 꿈꾸고 있지만 여전히 우리 생활문화 속에서 가드닝이란 단어는 낯설다.

눈부신 경제성장 덕분에 소득은 좀 올랐지만 정서적으로는 여유가 없어서일까? 전체 인구의 70% 가까이가 아파트 같은 콘크리트 더미에 살다 보니 공동체 의식이나 생명 넘치는 자연에 대한 향수가 줄어든 것일까?

하지만 선조들의 생활을 거슬러 올라가 보자. 우리 조상들은 초가집에 살더라도 텃밭과 화단이 있었다. 가족들의 먹을거리를 생산하는 채소밭은 울타리 쳐진 뜰 안에 있어 그 자체가 정원이었다. 좌우가 트인 부엌 한 켠엔 옥잠화가 심어져 어머님들은 밥하면서도 그 그윽한 향을 즐겼으며, 화단에 ‘분꽃(영명 four o’clock)‘을 심어 저녁 밥 지을 시간을 맞췄다.

이제 그간 힘겹게 사느라 잊고 살았던 우리 민족의 정원문화 심성을 되찾아 생활 속에 다시 발전시켜야 할 때다. 사실 가정(家庭)은 집과 정원을 말하는 한자어다. 그러니 정원이 없는 곳에서 산다는 것은 가정도 없이 사는 꼴이 된다. 가정이 있어야 가족이 건강하고 삶이 행복해진다.

정원은 복합산업이다. 어느 한 분야가 고집하며 나설 단순 영역이 아니다. 다양한 분야가 융합되어 집단지성으로 녹여내야 건강하게 발전될 산업이다.

정원을 구성하는 분야는 꽃을 심고 가꾸는 원예, 4계절 생명 넘치는 공간을 창조하는 디자인이나 설계, 대규모 아파트 정원을 구성하는 조경, 꽃이나 생명과 교감할 수 있는 인문학적 소양, 과거와 현존하는 삶을 통해 정원의 가치를 찾을 수 있는 문화적 지식, 다양한 힐링 활동을 통한 치유 등 매우 다양하다. 이들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두 모여야 바람직한 정원문화가 만들어지고 건강한 정원산업으로 발전될 수 있다.

올 봄 우리나라에 ‘정원문화포럼’이 새롭게 탄생된다. 이 포럼은 정원을 구성하는 다양한 분야가 함께 만나 우리나라 정원산업과 정원문화 발전을 위해 머리를 맞댈 예정이다.

▲ 송정섭 박사(정원문화포럼 발기인 대표·국립원예특작과학원 연구관)
즉 포럼은 원예, 조경, 임학, 디자인 등 정원과 연관된 각 분야 최고 고수들이 모인 단체로 구성될 예정이다. 포럼에서는 우리나라 정원산업의 발전이라는 명제를 가장 앞에 두고 자기 분야에서 뭘 기여할 수 있는지 따져 들어간다.

따라서 지금까지 특정분야의 이익을 대변하기 위해 설립된 협회나 단체와는 근본적으로 일하는 방식이 다르다. 최근 산림청 주도로 입법화되고 있는 수목원법 내 정원을 포함하는 문제도 조경, 원예, 산림분야가 머릴 맞대고 공동으로 발의한다면 의외로 쉽게 풀릴 수 있다.

정원, 이제 서양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그동안 잊고 살았던 우리 문화를 되찾고 집단지성을 통해 더 발전시켜 이 땅에 정원문화를 활짝 꽃피워 보자.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