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 감천문화마을

옛 도심과 주거환경 개선에 중점을 둔 새 정부의 핵심정책인 ‘도시재생 뉴딜’이 본격 추진된다. 사업비는 1년에 10조 원. 5년간 50조 원을 투입해 500곳의 옛 도심을 재생하는 사업이다.

세부적으로 6개 유형과 15개 모델을 제시하면서 국토부는 ‘도시재생 뉴딜’의 사업적, 공간적 범위를 설정하기 위해 릴레이 의견수렴에 들어갔다.

5년간 50조가 투입되는 ‘도시재생 뉴딜’ 사업에 조경의 역할과 참여 범위는 얼마나 될까? 현재까지 들어난 ‘도시재생 뉴딜’은 옛 도심 정비와 주거환경 개선에 중심을 두고 있어 건축 중심의 사업으로 추진될 가능성이 크다. 다만 조경분야에서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조경의 참여범위는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이번 뉴딜정책에서 제안한 6개 사업유형 중 ‘공유재산 활용형’이 있다. 이는 이전 공공청사나 군부대 같은 공유시설을 지역주민을 위한 대규모 공공시설로 재정비하는 사업으로 언급하고 있어, 조경의 사업영역으로 끌어낼 수 있는 분야로 파악된다.

다만 정책의 핵심을 일자리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측면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조경의 관점에서 접근하면 안 된다는 지적과 조경의 사업 확보 차원에서 조경계가 적극 참여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안상욱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 이사장은 “도시재생 뉴딜은 기존의 도시재생에 주거공급이 통합되는 형태로 주택을 강조하면서 일자리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방점을 두고 있어 기존의 조경적 시각으로 접근하면 안 된다”고 운을 뗀 뒤 “서울로7017 사례처럼 지역을 재생시키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는 융·복합적인 사업의 제안을 통해 조경의 참여 범위를 확대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안 이사장은 “의견수렴을 통해 사업 범위를 설정하는 만큼 사업초기부터 다양한 사업 제안과 지속적인 발언을 통해 조경분야의 영역을 만들어가야 한다”며 조경계의 적극 참여를 당부하기도 했다.

하지만 조경계의 눈에 띠는 움직임은 아직 보이지 않는다. 기존 도시재생 사업에서 조경의 영역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던 것처럼, ‘도시재생 뉴딜’에서도 조경의 영역과 사업 방향을 잡지 못하는 데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대한환경조경단체총연합 관계자 역시 조경의 참여에 대해서는 공감하지만, 어떤 사업을 제안하고 어떤 방법으로 접근할 것인지에 대한 명확한 비전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총연합 관계자는 “건축 중심으로 추진되는 도시재생 뉴딜에서 조경이 어떤 몫을 하고 무엇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이 있다”며 “사업 초기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는 점에 공감하고, 다방면으로 참여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