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전체 주거지의 약 1/3을 차지하는 저층주거지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주택 진단, 전동드릴 같은 공구 임대는 물론 사용법 안내, 현장실습 등 집수리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집수리지원센터’ 6곳이 7일 전국에서 처음 문을 열었다.

서울시 전체 면적(606㎢) 중 주거지는 313㎢이고, 이 가운데 아파트, 도로, 공원 및 뉴타운·재개발구역을 뺀 111㎢가 저층주거지(4층 이하)다. 이중 20년 이상 된 주택이 72%에 이를 정도로 노후화가 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집수리지원센터’는 전면 철거 대신 지역별 맞춤형 재생과 개별주택에 대한 집수리를 지원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서울시가 지난 4월 발표한 ‘주거재생정책 실행방안’의 하나다. 낡은 저층주거지에 대한 집수리를 지원함으로써 무조건 허물고 새로 짓는 것이 아닌 집을 고쳐서 오래 쓰는 문화를 만들어나가는 것이 목표다.

‘집수리 지원센터’는 건축법상 용어인 ‘주택관리지원센터’를 시민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바꾼 것이다.

이번에 문을 연 6곳은 ▲종로구 창신숭인 도시재생사업구역 ▲구로구 가리봉동 도시재생사업구역 ▲용산구 해방촌 도시재생사업구역 ▲성북구 장위동 도시재생사업구역 ▲은평구 산새마을 주거환경관리구역 ▲금천구 시흥동 주거환경관리구역이다.

시범운영 대상지 6곳은 도시재생활성화지역과 주거환경관리사업구역 가운데 선정했으며, 시는 내년 상반기까지 시범운영을 하며 보완사항을 발굴하고 개선해나간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올해 6곳 시범운영을 시작으로, 내년 상반기까지 25곳, 2019년에는 100곳 이상 설치해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시범운영 기간 동안에는 모든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집수리지원센터’는 ①찾아가는 주택진단 서비스 ②집수리 관련 각종 공구 임대 ③찾아가는 주민 아카데미 ④집수리업체 관련 정보 등 4개 서비스를 중심으로 운영한다.

먼저 찾아가는 주택진단 서비스는 집수리를 희망하는 시민이 온·오프라인으로 신청하면 전문 상담사가 직접 찾아가서 주택 전반에 대해 진단 뒤 어느 부분에 대한 수리가 필요한지 체크리스트를 작성해준다. 상담사는 집수리 관련 사회적기업, 마을기업의 실무인력과 해당 관내에서 활동하는 건축사로 구성하며, 비상주로 주 2일 상담 예정이다.

둘째 집수리 관련 각종 공구 임대는 시민 누구나 스스로 집수리를 할 수 있도록 자주 사용하지는 않거나 개별적으로 구입하기 부담스러운 전동드릴, 공구셋트, 사다리 등 13개 품목 43종을 빌려준다.

셋째 찾아가는 주민 아카데미는 주택 유지·관리와 관련해 서울시와 중앙정부가 운영 중인 각종 지원제도를 알기 쉽게 정리해 맞춤형으로 알려주고, 공구 사용법 안내 및 현장실습도 실시할 예정이다.

넷째 집수리 업체 관련 정보는 이웃에 있는 집수리 업체의 위치, 업종, 공사비 등 각종 정보를 현재 구축 중인 ‘집수리 종합정보시스템(누리집)’과 연계해 내년 상반기부터 제공할 계획이다.

한편 서울시는 지난 4월 발표한 ‘주거재생정책 실행방안’ 4대 지원방안(▲주택 신축·개량 공사비 저리융자지원 ▲집수리 지원센터 설치 ▲집수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집수리 전문업체 육성) 가운데 주택 신축·개량 공사비 저리융자 지원을 이미 시행 중이다. 이는 공사 금액의 80% 이내에서 최대 9000만 원까지 5년 균등분할 상환 조건으로 지원하고 연 2%의 금리를 시가 부담하는 것으로, 본격 시행에 앞서 시는 우리은행과 지난 2월 협약을 맺었다.

집수리 종합정보시스템(누리집)은 집수리가 필요한 시민과 전문 업체 모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집수리 관련 온라인 허브로, 내년 초부터 이용 가능하도록 준비 중이다. 이곳을 통해 우수 집수리 사례를 공유하고 우수 업체는 시가 홍보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저층주거지 집수리 공공지원은 오랜 기간 살아온 정든 내 집에서 원하는 대로 더 오래 살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며 “낡은 주택을 무조건 철거하고 새로 짓는 것이 아니라 고쳐서 오래 사는 문화를 만들도록 꾸준히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